하이드 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드 로드는 1887년부터 1923년까지 맨체스터 시티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던 축구 경기장이다. 클럽은 여러 차례 경기장을 옮겨 다니며 어려움을 겪다가 하이드 로드에 정착했으며, 경기장 시설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수용 인원을 늘렸다. 1910년에는 지붕을 설치하여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좁은 도로와 회전문 부족으로 접근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1920년 화재로 메인 스탠드가 파괴된 후, 클럽은 1923년 메인 로드로 이전하면서 하이드 로드에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하이드 로드는 여러 차례 증축 및 개축을 거쳤으며, 경기장 옆에 위치한 하이드 로드 호텔은 구단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이드 로드의 일부는 다른 곳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컨테이너 보관 및 창고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7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베이커 볼
베이커 볼은 1887년부터 1938년까지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된 야구장으로, 개장 당시에는 '내셔널 리그 파크'로 불렸으나 1923년부터 필리스 구단주 윌리엄 베이커의 이름을 따 '베이커 볼'로 불렸으며 야구 외 다양한 스포츠 행사가 개최되었으나 시설 노후화와 사고 등으로 1938년 폐장되었다. - 1887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오크웰
오크웰은 잉글랜드 사우스요크셔주 반즐리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반즐리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1990년대 이후에는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행사에도 활용된다. - 맨체스터의 스포츠 시설 - 맨체스터 아레나
맨체스터 아레나는 영국 맨체스터에 위치한 실내 경기장으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며, 2017년에는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재개장했다. - 맨체스터의 스포츠 시설 - 메인 로드
메인 로드는 1923년에 완공되어 웸블리 스타디움 다음으로 영국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였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다가 2003년 폐쇄되어 주택 지구로 재개발되었다. - 맨체스터 시티 FC - 리처드 던
리처드 던은 아일랜드 출신의 전 축구 선수로, 여러 클럽과 아일랜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 맨체스터 시티 FC - 탁신 친나왓
탁신 친나왓은 친나왓 그룹을 설립하고,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정책을 추진했으나 쿠데타로 실각하여 망명 생활을 했고, 2023년 귀국 후 8년 형을 선고받았다가 2024년 가석방된 태국의 기업인 겸 정치인이다.
하이드 로드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경기장 정보 | |
경기장 이름 | 하이드 로드 |
원어 이름 | Hyde Road |
위치 | 맨체스터 어드윅, 잉글랜드 |
기공 | 1887년 |
개장 | 1887년 9월 17일 |
폐장 | 1923년 |
철거 | 1923년 |
소유주 | 맨체스터 시티 FC, Chesters Brewery |
운영 | 맨체스터 시티 FC |
사용처 | 맨체스터 시티 FC (1887년 - 1923년) |
수용 인원 | 40,000 명 |
![]() |
2. 역사
1880년 클럽 창단 이후, 맨체스터 시티는 여러 경기장을 전전했다. 처음에는 세인트 마크스(웨스트 고턴), 이후 웨스트 고턴 A.F.C., 1884년 중반에는 고턴 A.F.C.로 불리며 안정적인 거점을 찾기 어려웠다. 초기에는 교회 근처의 위험할 정도로 울퉁불퉁한 잔디밭에서 경기를 치렀지만, 곧 커크만슐름 크리켓 클럽과 경기장을 공유하다가 1년 만에 쫓겨났다. 그 후 4시즌 동안 황무지에 세 개의 경기장을 조성했지만, 모두 부적합했다.[2]
1887년, 불스 헤드 호텔 지주의 임대료 인상 요구로 클럽은 대체 장소를 찾아야 했다. 케네스 맥켄지는 아드윅 하이드 로드 근처의 쓰레기장을 발견하고 클럽 위원회에 알렸다.[3] 로렌스 퍼니스는 부지 소유주인 맨체스터, 셰필드, 링컨셔 철도 회사와 협상하여 7개월 임대 계약을 체결했고,[2] 클럽은 "아드윅 A.F.C."로 이름을 변경했다.
몇 주 후, 갤러웨이 엔지니어링 공장 자재를 사용하여[5] 기본적인 축구 경기장이 준비되었다. 탈의실은 없었고, 선수들은 하이드 로드 호텔 선술집에서 옷을 갈아입었다. 1888년 첫 좌석 구역(1,000석)이 지어졌고,[6] 체스터스 양조장이 경기장 내 주류 독점 공급권을 받는 대가로 비용을 지불했다.[5] 1892년 아드윅은 풋볼 리그에 가입, 부틀과의 첫 리그 경기에서 7-0으로 승리했다.[7] 2년 후 클럽은 "맨체스터 시티 F.C."로 개편되었다.
축구 클럽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경기장은 여러 차례 개선되었다. 1890년 600파운드, 1896년 탈의실, 1898년 1,500파운드에 새 관중석, 1904년 2,000파운드를 들여 3면 관중석을 갖춘 40,000명 수용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9] 하이드 로드는 잉글리시 리그와 아일랜드 리그 간 경기, FA컵 준결승 (뉴캐슬 유나이티드 vs 웬즈데이) 등 권위 있는 경기를 개최했다.[10] 1910년 3면에 다중 스팬 지붕을 설치하여 35,000명을 수용했다.[11]
개선에도 불구하고, 경기장은 좁은 주변 거리와 회전문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4] '맨체스터 풋볼 뉴스' 기자는 "크로프트는 비 오는 날 악몽이고, 접근 방식이 최악이다"라고 요약했다.[12] 1913년 선덜랜드전에서는 관중 과잉으로 경기가 중단되기도 했다.[1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경기장 재개발은 보류되었고, 300마리의 말을 위한 마구간으로 사용되었다.[3] 1920년 조지 5세가 방문했고,[17] 11월, 담배 꽁초 화재로 메인 스탠드가 파괴되어, 올드 트래포드 공유를 논의했지만 임대료 문제로 무산되었다.[18]
1922년 모스 사이드의 메인 로드 이전 계획이 발표되었다. 1923년 4월 28일 뉴캐슬 유나이티드전이 하이드 로드 마지막 경기였고,[19] 8월 공개 연습 경기가 마지막이었다.[18] 맨체스터 시티는 8만 명 수용 규모의 메인 로드에서 1923-24 시즌을 시작했다. 하이드 로드 메인 스탠드 지붕은 핼리팩스 타운에 판매되어 더 셰이에 설치되었다.[20]
2. 1. 초기 역사 (1880-1887)
맨체스터 시티는 1880년 세인트 마크스(St. Mark's)라는 이름으로 창단된 이후 여러 경기장을 전전했다. 처음에는 교회 근처의 열악한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렀고, 이후 몇몇 경기장을 거쳤지만 모두 부적합했다.[2]1887년, 불스 헤드 호텔의 지주가 임대료 인상을 요구하면서 클럽은 새로운 경기장을 찾아야 했다. 당시 주장 케네스 맥켄지는 아드윅의 하이드 로드에 있는 쓰레기장을 발견했고, 클럽 서기 로렌스 퍼니스가 부지 소유주인 철도 회사와 협상하여 7개월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2] 클럽은 새로운 위치를 반영하여 이름을 "아드윅 A.F.C."로 변경했다.[2]
몇 주 후, 인근 공장에서 제공한 자재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축구 경기장이 준비되었다.[5] 경기장에는 탈의실이 없었고, 선수들은 근처 선술집인 하이드 로드 호텔에서 옷을 갈아입었다. 1888년에는 1,000석 규모의 첫 좌석 구역이 지어졌으며,[6] 체스터스 양조장이 경기장 내 주류 독점 판매권을 얻는 대가로 비용을 지불했다.[5]
2. 2. 하이드 로드 시대 (1887-1923)
1887년 맨체스터 시티는 아드윅의 하이드 로드에 있는 쓰레기장을 새로운 경기장 부지로 선정했다. 클럽 서기 로렌스 퍼니스는 맨체스터, 셰필드, 링컨셔 철도 회사와 협상하여 7개월 임대 계약을 체결하고, 클럽 이름을 "아드윅 A.F.C."로 변경했다.[2] 몇 주 후, 기본적인 축구 경기장이 완성되었고, 1888년에는 1,000석 규모의 첫 좌석 구역이 설치되었다.[6]1892년 아드윅은 풋볼 리그에 가입했고, 하이드 로드에서 부틀을 상대로 첫 리그 경기를 치러 7-0으로 승리했다.[7] 1894년, 클럽은 "맨체스터 시티 F.C."로 개편되었다. 경기장 시설은 꾸준히 개선되어 1904년에는 4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가 되었다.[9] 하이드 로드는 FA컵 준결승전 등 권위 있는 경기를 개최하기도 했다.[10]
1913년 선덜랜드와의 컵 경기에서는 관중 과잉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스포츠 행사에서의 군중 통제 문제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3]
1920년 조지 5세가 하이드 로드를 방문하여 맨체스터 시티와 리버풀의 경기를 관람했다.[17] 같은 해 11월, 담배 꽁초로 인한 화재로 메인 스탠드가 파괴되었다.[18]
1923년 맨체스터 시티는 메인 로드로 이전했고, 하이드 로드에서 마지막 경기는 뉴캐슬 유나이티드와의 리그 경기였다.[19] 하이드 로드의 메인 스탠드 지붕은 핼리팩스 타운에 판매되어 더 셰이에 설치되었다.[20]
2. 3. 메인 로드로 이전 (1923)
1920년, 담배 꽁초로 인한 화재로 메인 스탠드가 파괴되자, 맨체스터 시티는 새로운 홈 구장을 찾기 시작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올드 트래포드를 공유하는 방안이 논의되기도 했지만, 임대료 문제로 인해 무산되었고, 결국 1922년 모스 사이드에 있는 새로운 경기장인 메인 로드로 이전할 계획을 발표했다.[18]하이드 로드에서 열린 마지막 맨체스터 시티 경기는 1923년 4월 28일 뉴캐슬 유나이티드와의 리그 경기였다.[19] 1923년 8월, 하이드 로드에서 열린 마지막 축구 경기는 공개 연습 경기였다.[18] 맨체스터 시티는 80,000명 수용 규모의 메인 로드에서 1923-24 시즌을 시작했다. 하이드 로드의 메인 스탠드 지붕은 핼리팩스 타운에 판매되어 더 셰이에 설치되었으며, 21세기에도 그 일부가 여전히 남아 있다.[20]
3. 경기장 구조
하이드 로드는 여러 차례 증축 및 개축을 거쳤다. 1888년에 1,000석 규모의 첫 좌석 구역이 지어졌고,[6] 1898년에는 새 관중석이 건설되었다.[9] 1904년에는 3면의 관중석을 갖춘 40,000명 수용 규모로 확장되었으며,[9] 1910년에는 3면에 지붕이 설치되어 35,000명의 관중을 위한 덮개가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11]
경기장의 주요 관람 구역은 다음과 같다.
4. 하이드 로드 호텔
경기장 옆에는 선술집인 하이드 로드 호텔이 있었는데, 선수들이 옷을 갈아입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이 호텔은 1887년 8월 30일 아드윅 A.F.C.의 첫 회동과 1894년 맨체스터 시티 F.C.를 설립하고 회사로 등록하기로 결정하는 등 클럽 역사상 중요한 행사가 열린 장소였다.[25] 이 시기 동안 하이드 로드 호텔의 소유주인 체스터스 양조장은 축구 클럽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여, 아드윅은 "양조업자들"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980년대에 하이드 로드 호텔은 전 맨체스터 시티 선수였던 조지 헤슬롭이 소유하게 되었고, "더 시티 게이츠"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사업은 실패하여 1989년에 문을 닫았고,[26] 이후 10년 넘게 건물이 비어 있었다. 맨체스터 시티 서포터들이 건물을 살리려는 시도를 했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2001년 5월까지 건물은 철거되었다.[27] 하이드 로드 호텔의 두 개의 아치석은 2003년부터 구단의 홈 경기장인 시티 오브 맨체스터 스타디움의 기념 정원에 보관되어 있다.[28]
5. 현재
하이드 로드의 흔적은 대부분 사라졌으며, 현재 부지는 컨테이너 보관 및 창고 시설인 올림픽 화물 터미널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21] 메인 스탠드의 지붕은 핼리팩스 타운에 판매되어 더 셰이 경기장에 설치되었으며, 21세기에도 이 지붕의 일부가 여전히 남아 있다.[20]
참조
[1]
서적
Geographia Manchester Colour Map
Geographia
1986
[2]
서적
Manchester City – The Complete Record
[3]
서적
The Football Grounds of Great Britain
[4]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5]
서적
The Manchester City Story
[6]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7]
서적
The Manchester City Story
[8]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9]
서적
The Manchester City Story
[10]
서적
Manchester City – The Complete Record
[11]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12]
서적
All-round Genius
[13]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14]
서적
The Manchester City Story
[15]
뉴스
Athletic News
1913-06-09
[16]
서적
The Manchester City Story
[17]
웹사이트
Stadium History
https://web.archive.[...]
Manchester City FC
2008-06-15
[18]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19]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20]
서적
Everything under the blue moon
[21]
서적
Everything under the blue moon
[22]
서적
Manchester City – The Complete Record
[23]
서적
Manchester City – The Complete Record
[24]
서적
Manchester City – The Complete Record
[25]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26]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27]
서적
Manchester: The Greatest City
[28]
서적
Manchester City – The Complete Rec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